유명사찰, 건축물

*운주사(전남 화순)

칼멘9988 2014. 1. 4. 09:53

*운주사(전남 화순)

 

 

 

운주사 전각 배치도

 

 

 

운주사 전경

 

 

운주사 불상들

 

 

석조불감에 모셔진 석가여래불

 

 

석조불감에 모셔진 비로자나불

 

 

운주사 와불

 

운주사 와불은 열반상(부처님이 옆으로 비스듬이 누운 상)과는 다르게 좌불(앉은 모습)과 입상(선 모습)으로 자연석 위에

 조각된 채로 누워있는 형태로 누워있는 부처님은 세계에서 하나뿐인 유일한 형태의 와불이다.

이 부처님은 좌불 12.7미터, 입상 10.26미터의 대단히 큰 불상이다.

나침반을 갖다대면 거의 정확히 남북으로 향하고 있어 이 천번째 부처님이 일어나면 곤륜산의 정기를 이 민족이 받아 새로운 세상이 열리고 지상 최대의 나라가 된다는 전설이 전해져 온다.

운주사의 좌불은 비로자나부처님이고 옆에 입상은 석가모니불이다. 그리고 이 두 분을 지키는듯 아래 서있는 노사나불(머슴부처, 시위불, 상좌불)도 옆에서 떼어내 세운 것이 분명하다.

그러기에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한 삼불 신앙의 형태로서 떼어서 어딘가에 세우려 했던 것인데 과연 어디다 세우려했을까에 대한 의문과 더불어 역사의 기록에서 이런 대단위 불사가 사라진 까닭을 생각해 보면 매우 흥미

 

운주사 원형다층석탑(보물 798호)

 

전남 화순군 도암면 대초리 천불산 다탑봉 운주사는 천불천탑으로 세간에 널리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의 여느 사찰에서는 발견 할 수 없는 특이한 형태의 불사를 한 불가사의한

신비를 간직하고 있다.

1481년에 편찬된 [동국여지승람]의 기록 ‘운주사 재천불산 사지좌우산척 석불석탑 각일천

우유석실 이석불 상배이좌(雲住寺 在天佛山寺之左右山脊 石佛石塔 各一千 又有石室 二石佛

相背以坐)라는 유일한 기록이 있다.

 

이는 ‘운주사는 천불산에 있으며 절 좌우 산에 석불 석탑이 각 일천기씩 있고 두 석불이

서로 등을 대고 앉아있다’는 내용으로 보아 정말 그때까지만 하여도 석불 석탑이

일천기씩이 실존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조선조 인조 10년(1632)에 발간된 능주읍지에는 ‘운주사 재현남이십오리천불산좌우산협석불석탑

 일천우유 석실이석불상배이좌(雲住寺 在縣南二十五里千佛山左右山峽石佛石塔 一千又有

 石室二石佛相背而座)’ 운주사는 현의 남쪽 이십오리에 있으며 천불산 좌우 산 협곡에 석불 석탑이

 일 천씩 있고 석실에 두 석불이 서로 등을 맞대고 앉아있다는 기록이 있는 걸로 봐서 일천씩의

석불 석탑이 있었던 게 분명하고 그 말미에 금폐(今廢) 라는 추기가 있어 정유재란으로 인해

소실되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그 후 조사한 기록을 보면 석탑이 22기, 석불이 213기가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석탑 17기,

석불 80여기만 남아있어 역사 속에서 끝없이 유실되어온 뼈아픈 세월을 살아왔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984년부터 1991년까지 전남대학교 박물관에서 네차례의 발굴조사와 두차례의 학술조사를 하였으나

 창건시대와 창건세력, 조성 배경에 대한 구체적인 확증을 밝혀내지 못하여 운주사 천불천탑은

 여전히 불가사의한 유적으로 남아있다.

운주사 불상들은 천불산 각 골짜기 바위너설 야지에 비로자나부처님(부처님의 빛, 광명)을

 주불로 하여 여러기가 집단적으로 배치되어있다.

크기도 각각 다르고 얼굴 모양도 각양각색이다.

 

홀쭉한 얼굴형에 선만으로 단순하게 처리된 눈과 입, 기다란 코, 단순한 법의 자락이 인상적이다.

민간에서는 할아버지부처, 할머니부처, 남편부처, 아내부처, 아들부처, 딸부처, 아기부처라고 불러오기도 했는데, 마치 우리 이웃들의 얼굴을 표현한 듯 소박하고 친근하다.

이러한 불상배치와 불상제작 기법은 다른 곳에서는 그 유형을 찾아 볼 수 없는 운주사 불상만이

 갖는 특별한 가치로 평가받는다.

또한 운주사 석탑들은 모두 다른 모양으로 각각 다양한 개성을 나타내고 있다.

연꽃무늬가 밑에 새겨진 넙쩍하고 둥근 옥개석(지붕돌)의 석탑과 동그란 발우형 석탑,

 부여정림사지 5층 석탑을 닮은 백제계 석탑, 감포 감은사지 석탑을 닮은 신라계 석탑,

분황사지 전탑(벽돌탑) 양식을 닮은 모전계열 신라식 석탑이 탑신석의 특이한 마름모꼴 교차문양과

 함께 두루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운주사 탑들의 재료로 쓰인 돌은 석질이 잘 바스라져서 오히려 화강암질의 강한 대리석보다

 더 고도의 기술을 습득한 불모(석공)님이 아니면 제작이 불가능하다는 게 일반적인 견해이다.

그 석질로 빚어만든 탑이 이렇게 수많은 세월의 풍상을 버티어 전해져 오는 것을 보면 이곳의

조형자들의 기술이 가히 최고 수준이었다는데는 반론의 여지가 없을 듯 싶다.

'유명사찰, 건축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륵사(경기 양평)  (0) 2014.01.07
★ 해동 용궁사( 海東龍宮寺 )   (0) 2014.01.06
길상사  (0) 2014.01.03
*불영사(경북 울진)  (0) 2013.12.28
*거조암(경북 영천)  (0) 2013.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