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사찰, 건축물

 *탈골암(충북 보은)

칼멘9988 2014. 1. 21. 09:39

*탈골암(충북 보은)

 

 

충북 보은군 내속리면 사내리에 소재하고 있는 탈골암은 법주사의 산내암자로 720년(신라 성덕왕 19) 창건되었고,

776년(혜공왕 12) 진표율사(眞表律師)가 중창했다.

암자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진표 스님이 이곳에서 영심(永深)·융종(融宗)·불타(佛陀) 등의 제자들을 깨우쳐

 생사윤회를 벗어나 해탈케 했다하여 탈골암으로 불렀다고 한다.

창건 이후의 연혁은 고려시대는 물론 조선시대에 이르도록 알려진 것이 없으나,

 다만 1624년(인조 2) 벽암각성(碧巖覺性) 스님이 중창했다고만 알려질 뿐이다.

 

근대에 들어와서는 1950년 한국전쟁 때 건물이 전부 불타 없어지고 폐허가 되고 말았다.

 이후 1954년 일부 중건을 하였으나 작은 암자에 약사여래좌상만 봉안되었을 뿐 아무도 머무르지 않았다고 한다.

그 뒤 1967년 영수(榮修) 스님이 머물면서 법등을 잇기 시작했는데 영수 스님은 1975년부터 중창불사에 들어가

 1977년에 삼성전을 짓고, 1987년에는 상좌인 혜운(慧芸) 스님과 함께 선원을 건립하기 시작해 1990년에 완공을 보았다.

이 선원은 당시 조실이었던 월산(月山) 스님이 “대휴선원(大休禪院)”이라 이름을 지어주어 눈푸른

 

납자들의 정진처가 되게 하였다.

1993년 2월에는 화재로 17평의 법당이 소실되자 그 해 12월부터 법당 중건불사에 들어갔으며,

1995년 가을에 약사전과 요사인 운하당·연화당의 완공으로 오늘날 탈골암의 모습이 되게 하였다.

 

 

탈골암 전경

 

 

탈골암 약사전 전경

 


 

스님을 사모한 처녀

 

언제인지 분명치 않지만 통도사에서 가장 높은 산내암자
백운암에 홍안의 젊은 스님이 홀로 경학을 공부하고 있었다.

장차 훌륭한 강백이 되기를 서원한 이 스님은 아침 저녁 예불을 통해
자신의 염원을 부처님께 기원하면서 경 읽기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

아직 산기슭 군데군데에 잔설이 남아 있던 어느 봄날.
스님은 여느날과 다름없이 저녁 예불을 마치고 책상 앞에
단정히 앉아 경을 읽고 있었다. 문득 인기척이 나는가
싶더니 아리따운 아가씨의 음성이 밖에서 들려왔다.

 

『스님, 계십니까?』
『뉘신지요?』
문을 연 스님은 이번엔 귀가 아니라 눈을 의심했다.
목소리만큼 아름다운 처녀가 바구니를
든 채 서 있는 것이 아닌가.

『늦은 시각, 이렇게 깊은 산중에 웬일이십니까?』
『소녀, 친구들과 나물캐러 나왔다가 그만 길을 잃었습니다.
이리저리 헤매면서 길을 찾아 보았으나 도무지 알 수 없었어요.
날은 저물고 갈길이 막막하던 차 불빛을 보고
반가운 마음에 단숨에 달려왔습니다.
어려우시더라도 하룻밤 묵어 가도록 허락하여 주시면
그 은혜 잊지않겠습니다.』

『사연인 즉 딱하나 소승 아직 젊은 나이에 혼자 수행 중이고,
방이라고는 하나 밖에 없으니 매우 난처하군요.』

『하오나 스님, 이 밤에 소녀 어디로 갈 수 있겠습니까?』

소녀의 간곡한 청을 들은 스님은 어두운 산길에 처녀를 혼자
돌려 보낼 수 없다고 생각됐다.

난처하긴 했지만 단칸방의 아랫목을 그 처녀에게 내준
스님은 윗목에 정좌한 채 밤새 경전을 읽었다.
스님의 경 읽는 음성은 낭랑했다.

고요한 산중에 울려퍼지는 그 음성은 마치 신비경으로
인도하는 듯 처녀를 사로잡았다.
처녀는 그밤부터 스님에게 연정을 품게 됐다.

거의 뜬눈으로 밤을 지새운 처녀는 날이 밝자
집으로 돌아왔으나 마음은 늘 백운암 스님에게 가 있었다.
스님을 사모하는 정은 날이 갈수록 깊어가
마침내 처녀는 병을 얻게 됐다.

마을에서 지체 있는 가문의 무남독녀인 처녀는
좋다는 약을 썼으나 백약이 무효였다.
부모님의 걱정은 태산 같았다.

 

처녀의 어머니는 식음을 전폐하고 좋은 혼처가 나와도
고개를 흔드는 딸의 심정을 알지 못해 안타깝기만 했다.
『얘야, 네 소원을 다 들어줄 테니
어찌된 연유인지 속 시원히 말해봐라.』
처녀는 지날날 만났던 젊은 학승 이야기와
함께 이루지 못할 사랑의 아픔을 숨김없이 고백했다.

사연을 들은 부모는 자식의 생명을 건지기 위해
백운암으로 스님을 찾아갔다.

『스님, 스님이 아니면 제 딸이 죽습니다.
한 생명 건지신다 생각하시고 제 딸과 혼인하여 주십시오.』
아무리 애걸하여도 젊은 스님의 굳은 결심은 흔들리지 않았다.

그후 얼마 안가서 처녀는 병이 깊어져 죽게 됐다.
『어머니, 소녀 아무래도 오래 살지 못할 것 같습니다.
불효를 용서하옵소서.
그리고 마지막으로 스님 얼굴 한번만 보고
죽는다면 소녀 원이 없겠사옵니다.』

 

 그 소식을 들은 스님은 마음속으로 안됐다고
생각하면서도 끝내 처녀 집을 방문치 않았다.
처녀는 그만 한 맺힌 가슴을 안고 눈을 감았고,
그 뒤 영축산 호랑이가 됐다고 한다.

 그 후 여러 해가 또 지나 그 젊은 스님은 초지일관하여
드디어 산중 강사의 영광을 누리게 됐다.
연화가 무르익어 갈 무렵, 갑자기 거센 바람이 일면서
호랑이 울음소리가 들려왔다.

 순간 「휙」하고 큰 호랑이가 감로당 지붕을
이리저리 뛰는 것이 아닌가.

「어흥, 어흥」 호랑이는 문을 할퀴면서
점점 사납게 울부짖었다.

 

 대중들은 수군대기 시작했다.
『아무래도 이변일세. 필경 대중 속에 누군가가
저 호랑이와 무슨 사연이 있을 걸세.』
『그렇다면 각자 저고리를 벗어 밖으로 던져보세.
그럼 그 주인공이 누구인지 알 것이 아닌가.』
연회석에 참석한 스님들은 저고리를 벗어
하나씩 밖으로 던졌다.

호랑이는 하나씩 받아서는 그냥 옆으로 던졌다.
그러나 이게 웬일인가.
마지막으로 새로 취임하는 강백 스님의
저고리를 받더니 마구 갈기갈기 찢으면서
더욱 사납게 울부짖는 것이었다.

대중들은 강백이 바로 호랑이가 노리는 대상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아무도 말을 못하고 서로 얼굴만 쳐다보고 있었다.
이때였다. 강백 스님은 앞으로 나서며 말했다.
『이는 아무래도 소승의 속세 인연인가 봅니다.』
말을 마친 스님은 합장 예경하고 바깥 어둠 속으로 뛰어나갔다.

 아무도 스님을 말리려 들지 못했다.
호랑이는 그 강백을 나꿔채더니 어디론가 사라졌다.

 

이튿날 날이 밝자 산중의 모든 대중은 강백을 찾아
온 산을 헤맸다. 깊은 골짜기마다 다 뒤졌으나 보이지 않던
강백 스님은 젊은 날 공부하던
백운암 옆 등성이에 상처 하나 없이 누워 있었다.

그러나 강백 스님은 이미 이 세상 사람이 아니었다.
자세히 살펴보니 남성의 「심볼」이 보이지 않았다.
그 후 통도사에서는 호랑이의 혈(血)을 눌러야겠다고 하여
큼직한 반석 2개를 도량 안에 놓게 되었다.

 

 

이를 「호혈석(虎血石」「호석(虎石)」이라 부르는데
지금도 산신각에서 20m 남쪽 응진전 바로 옆과
극락전 옆 북쪽에 남아있다.

 

'유명사찰, 건축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천암(충북 보은)  (0) 2014.01.23
*법주사(충북 보은)  (0) 2014.01.22
송광사(전북 완주)  (0) 2014.01.20
*미륵사(경기 양평)  (0) 2014.01.16
*칠불사(경남 하동)  (0) 2014.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