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4346년,2013년도 2월달력 절후표,
이십사절후표(二十四節候表)
계절 (季節) |
절기명 (節氣名) |
양력(陽曆) |
음력 陰曆 |
기후(氣候)의 특징(特徵) | |
봄 春 |
立春(입춘) |
2월 |
4~5일 |
1월 |
겨울의 절정에서 봄이 조금씩 움튼다 |
雨水(우수) |
18~20일 |
얼음이 녹고, 초목이 싹트기 시작한다 | |||
驚蟄(경칩) |
3월 |
5~6일 |
2월 |
겨울잠을 자던 벌레들이 깨어난다 | |
春分(춘분) |
20~22일 |
낮과 밤의 길이가 같고, 봄기운이 무르익는다 | |||
淸明(청명) |
4월 |
4~5일 |
3월 |
하늘은 맑고, 날씨는 따뜻하다 | |
穀雨(곡우) |
20~21일 |
농사를 재촉하는 비가 내린다 | |||
여름夏 |
立夏(입하) |
5월 |
5~6일 |
4월 |
어느새 여름의 문턱에 들어선다 |
小滿(소만) |
20~21일 |
작은 꽃들이 피고, 여름기운이 서서히 감돈다 | |||
芒種(망종) |
6월 |
5~6일 |
5월 |
보리는 익어서 거두고, 모심기를 하게 된다 | |
夏至(하지) |
21~23일 |
낮이 가장 길어지고, 해가 뜨거워 진다 | |||
小暑(소서) |
7월 |
6~8일 |
6월 |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된다 | |
大暑(대서) |
22~23일 |
이윽고 무더위가 최고 절정에 이른다 | |||
가을秋 |
立秋(입추) |
8월 |
7~8일 |
7월 |
더위가 약간 수그러 들면서 가을에 접어든다 |
處暑(처서) |
22~23일 |
아침‧저녁으로 시원해지며 더위가 수그러든다 | |||
白露(백로) |
9월 |
7~8일 |
8월 |
풀잎에 이슬이 맺히며, 가을 기분이 난다 | |
秋分(추분) |
22~24일 |
낮과 밤의 길이가 같으며, 완연한 가을이다 | |||
寒露(한로) |
10월 |
7~9일 |
9월 |
찬 이슬이 맺히고, 날씨가 서늘해 진다 | |
霜降(상강) |
23~24일 |
서리가 내리면서 가을이 깊어간다 | |||
겨울冬 |
立冬(입동) |
11월 |
7~8일 |
10월 |
어느덧 날씨가 추워지며 겨울이 시작된다 |
小雪(소설) |
22~23일 |
눈이 조금씩 내리기 시작한다 | |||
大雪(대설) |
12월 |
6~7일 |
11월 |
큰 눈이 내리며 본격적으로 추워진다 | |
冬至(동지) |
21~23일 |
밤이 가장 길어지며, 겨울의 복판에 든다 | |||
小寒(소한) |
1월 |
5~7일 |
12월 |
한겨울이 닥쳐와 날씨가 몹씨 추워진다 | |
大寒(대한) |
20~21일 |
매섭고 큰 추위가 몰아쳐서 엄동설한이 된다 |
立春은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있는 음력(陰曆) 정월(正月)
절기(節氣; 매달 상순에 드는
절기)로 태양이 황경(黃經;
춘분점에서부터 황도를 따라 잰 천체의
각도 거리) 315도에 위치할 시기이고 양력(陽曆)으로는 2월 4일경입니다. 입춘
전날은 절분(節分)으로 불리며 철의 마지막이라는 의미로 '해넘이'라고도 불리면서 이 날밤 콩을 방이나 문에 뿌려 마귀를 쫓고 새해를
맞이합니다.
특히 입춘날에는 "입춘대길(立春大吉)" 등의 입춘방(立春榜)을 문에 붙이고, 입춘절식(立春節食)이라 해서 고유의 절기 때
먹는 음식인 절식(節食)으로 입춘날에 먹는 햇나물 무침이 있습니다.
유래는 경기도 내의 산이 많은 6개의
고을{양평(陽平), 지평(砥平),
포천(抱川), 가평(加平), 삭녕(朔寧), 연천(連川)}에서 움파{동총(冬蔥)}, 멧갓, 승검초 등 햇나물을 눈
밑에서 캐내 임금께 진상하고 궁궐에서 겨자와 함께 무쳐 "오신반(五辛盤)"이라 하여 수라(水刺)상에 올렸습니다. 이는 겨우내 결핍된 신선한
야채를 보충하기 위한 것으로 민간에서도 이를 본받아 입춘절식(立春節食)을 먹는 풍습이 생겼습니다.
옛 문헌에 입춘 기간에는 동풍(東風)이
불어 언 땅이 녹고, 동면(冬眠) 벌레가 움직이기 시작하며, 어류(魚類)가 얼음 밑을 다닌다고
합니다.
雨水는 입춘(立春)과 경칩(驚蟄) 사이에 있는 음력(陰曆) 정월
중기(中氣; 매달 중순에 드는
절기)로 태양이 황경(黃經) 330도에 이른 때이고 양력(陽曆)으로는 2월 19일경입니다.
봄을 알리는 단비가 내려 대지를 적시고 겨우내 얼었던 대지가 녹아 물이 많아진다는 의미로 우수(雨水)라 합니다. 기후는 날씨가 풀려 봄바람이
불어와 "우수 경칩에 대동강(大同江) 물이 풀린다."라는 옛말이 전해옵니다.
옛 문헌에 우수 기간에는 수달이 물고기를 잡아 늘어놓고,
기러기가 북으로 날아가며, 초목에 싹이 튼다고 합니다.
새해 福 많이 받으세요^^
희망 2013년 행복과 건강 기원합니다.
설 상 차리는법 참고!
해마다 돌아오는 명절이지만 차례상 차리기는 늘 어렵게 느껴진다. 제수 마련은 기본적으로 필요한 음식에 조상이 좋아했던 음식을 따로 준비하면 된다. 기름에 튀기거나 부친 음식을 뜻하는 전(煎), 고기 생선 두부 등을 기름에 지지거나 석쇠에 구워 꼬치에 꿴 적(炙) 등 품이 들어가는 음식은 차례 하루 전에 미리 마련해둔다. 파, 마늘, 고춧가루 같은 짙은 양념은 쓰지 않는 게 원칙이다.
기본 상차림은
다섯 줄이다.
설날 차례상 준비.............................................
차례
차례는 간소한
약식제사로서 음력 매월 초하룻날과 보름날, 그리고 명절이나 조상의
차례는 기제를
지내는 조상에게 지냅니다.
차례는 명절날
아침에 각 가정에서 조상의 신주나 지방 또는 사진을 모시고 지냅니다.
차례상에 올릴 음식.........................................
① 밥(반 飯) 제삿밥으로 신위의 수대로
식기에 수북이 담고 뚜껑을 덮습니다.
② 국(갱 羹) 신위의 수대로 대접 또는
주발을 담고 뚜껑을 덮습니다.
③ 떡 제사에 쓰는 떡은 현란한 색깔을 피하므로 팥고물을 쓸 때도 껍질을 빗겨 내어 가급적이면 흰 빛깔이 되게 합니다.
④ 탕(탕 湯) 오늘날의 찌게라고 할 수
있다. 쇠고기,생선,닭고기 중 한가지를 택하여 조리하나
⑤ 전(전 煎) 기름에 튀기거나 부친 것으로
육전과 어전 두 종류를 준비합니다.
⑥ 적(적 炙) 적은 구이로서 제수 중
특별식에 속합니다. 바꾸어 구워서 올렸습니다. 오늘날에는 한가지만
준비해도 무합니다다.
⑦ 나물(숙채 熟菜) 익힌 채소로 한 접시에
고사리,도라지,시금치나물 등 3색 나물을 곁들여
⑧ 김치(침채 沈菜) 희게 담근 백김치,나박김치 등을 씁니다. 고춧가루를 쓰지 않습니다.
⑨ 과일류 전통적으로 제사에 쓰는 과일은 대추,밤,감(홍시 또는 곶감), 배였으므로 이것들은 꼭 준비하고 그 밖에 계절에 따라 나는 사과,수박,참외,석류,귤 등의 과일을 1~2종
준비합니다.
⑩ 포(포 脯) 보통 북어포를 사용합니다..
차례상 차림방법(진설법) ..........................................................................
밥과 국의 위치 : 반서갱동(飯西羹東) 밥은 서쪽,국은 동쪽입니다. 즉 제사자의 입장에서 밥은 왼쪽, 국은 오른쪽으로 놓습니다. 이는 산사람의 상차림과 반대입니다. 따라서 숟가락과 젓가락은 중앙에 놓습니다.
생선과 고기의 위치 : 어동육서(魚東肉西)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에 놓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즉 생선은 오른쪽.고기는 왼쪽에 놓습니다.
머리, 꼬리의 위치 : 두동미서(頭東尾西) 머리와 꼬리가 분명한 제수는 높은
방위인 동쪽 즉 오른쪽(제사자의 입장)으로 머리가 가고
과일의 위치 : 홍동백서(紅東白西)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놓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적의 위치 : 적전중앙(炙奠中央)
차례상,기본 5열에 `7원칙`..........................................
설날 지내는 차례는 추석 때와는 달리 밥과 국 대신 떡국이 올라 갑니다. 새해
떡국에 쓸 가래떡은 둥글게 썰어야 합니다.
새해 아침 에
떠오르는 해를 상징하기에 어슷하게 썰지 말라는 것입니다.
차례상은 신위나
지방을 북쪽에 두는 것이 기본으로 제주가 차례상을 바라보는 방향이 기준이 되므로
신위가 놓인 쪽이
북쪽이고 오른쪽은 동쪽, 왼쪽은 서쪽이 됩니다.
신위를 차례상 위에
바로 올리거나 병풍에 붙이는 일은 예법에 어긋납니다.
제사상과 약간
거리를 두고 작은 상이나 책을 괴어 조 금 높게 신위를 모셔야 합니다.
복숭아, 잉어,
꽁치, 삼치, 갈치, 고추, 마늘 등은 차례상에 올 려서는 안되는 음식들입니다.
상차림은 기본적으로
5열이구요. 차례상 차리기의 순서는 병풍 쪽 신위 앞으로부터 1열에 떡국과 잔,
수저, 2열에 적과
전, 3열에 탕, 4열에 포와 나물, 5열에 과일을 7가지나 5가지, 3가지의 홀수로 놓습니다. 다음의 7가지 원칙을 지키면 차례상 차리기에
크게 틀리지 않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①
어동육서(漁東肉西):어류는 동쪽에 육류는 서쪽에 놓는다.
②
두동미서(頭東尾西):생선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놓는다.
③
홍동백서(紅東白西):과실이나 조과의 붉은색은 동쪽에 흰색은 서쪽에 놓는다.
④
조율이시(棗栗梨枾):서쪽부터 대추, 밤, 배, 감의 순으로 놓는다.
⑤
좌포우혜(左脯右醯):포는 왼쪽에 식혜는 오른쪽에 놓는다..
⑥생동숙서(生東熟西):동쪽에는 김치를 놓고 서쪽에는 익힌 나물 등을
놓는다.
⑦
좌반우갱(左飯宇羹):밥은 왼쪽, 국은 오른쪽에
놓는다. |
'생활 상식, 지식 '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절기의 유래와 시기 (0) | 2014.04.20 |
---|---|
◈ 우리나라 연령별 인구수 ◈ (0) | 2014.04.16 |
갑오년 24 절기 (0) | 2014.02.03 |
♡ 추석의 유래와 풍습 ♡ (0) | 2013.09.17 |
초복(初伏)·중복(中伏)·말복(末伏) (0) | 2013.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