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사찰, 건축물

*법주사(충북 보은)2편

칼멘9988 2013. 12. 8. 10:24

*법주사(충북 보은)2편

 

 

 

법주사 팔상전(국보 제55호)과 청동미륵대불 :

 법주사 팔상전은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유일한 5층 목조탑으로 지금의 건물은 임진왜란

이후에 다시 짓고 1968년에 해체․수리한 것이다. 벽면에 부처의 일생을 8장면으로 구분하여

그린 팔상도(八相圖)가 그려져 있어 팔상전이라 이름 붙였다.  

팔상도란 1)석가모니가 도솔천에서 내려오는 장면,  2)룸비니 동산에서 마야부인에게 태어나는 장면, 

 3)궁궐의 네 문밖으로 나가 세상을 관찰하는 장면,  4)성을 넘어 출가하는 장면,  5)설산에서 고행하는 장면,

  6)보리수 아래에서 마귀를 항복 시키는 장면,  7)성불 후 녹야원에서 설법하는 장면,  

8)사라쌍수 아래에서 열반하는 장면 등 석가모니의 일생을 여덟 장면으로 표현한 그림이다.

건물 안쪽은 사리를 모시고 있는 공간과 불상과 팔상도를 모시고 있는 공간,

그리고 예배를 위한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법주사 팔상전은 지금까지 남아 있는

우리 나라의 탑 중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이며 하나뿐인 목조탑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법주사 대웅전(보물 제915호)

 

 

쌍사자석등(보물 제15호) :

대웅보전 앞에 높이 3.9m에 이르는 사천왕석등(四天王石燈)이 있다. 보물 제15호로 지정된 이 석탑은

 상대석에 사천왕이 새겨져 있어 사천왕 석등이라 부른다. 전체적으로 팔각이 기본 구조를 이룬다.

 

소조삼불좌상(보물 제1360호) :

 

비로자나불(毘盧舍那佛)을 주존으로 석가여래(釋迦如來)와 노사나불(盧舍那佛)이

 협시한 삼신불(三身佛)을 봉안하였다

. 연화대좌 위에 좌정한 삼신불은 흙으로 빚었다고 믿기 어려울 만큼 거대한 규모로서,

1624년 대웅보전을 중창하면서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크기는 전체 높이 550㎝이고

허리 둘레 390㎝로서 우리 나라의 소조불상 중에서 가장 크다. 삼신불의 모습은

 대체로 서로 일치하고 수인만 다르다.

 

 

마애여래의상(보물 제216호) : 마애여래의상(磨崖如來倚像)은 능인전 옆의 추래암(墜來岩) 암벽에 새겨진

 고려시대의 마애불상으로서 현재 보물 제216호로 지정되어 있다. 의상(倚像)이란 의자에 앉아 있는

 모습을 말하지만 여기서는 의자 대신에 연화대좌 위에 앉아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마애불로서

이러한 예는 경주 남산의 삼화령 미륵불이 유일한 작품인데 그 양식상의 특징과 연관지어 미륵불로 추정하고 있다.

 

 

 

충북보은군 내속리면 사내리에 소재하고 있는 법주사는 이 절의 개조(開祖)로 알려진 의신(義信)이

 일찍이 불법을 구하러 천축(天竺:인도)으로 건너가 그 곳에서 경전(經典)을 얻어 귀국하여

 나귀에 싣고 속리산으로 들어가 553년(신라 진흥왕 14) 이 절을 창건하였는데 법(法)이 안주할 수 있는 탈속(脫俗)의

 절이라 하여 법주사라는 명칭이 붙여졌다고 한다.

그러나 법주사의 정신적 지주가 된 미륵신앙(彌勒信仰)이나 법상종(法相宗)의 유식사상(唯識思想)은,

혜공왕 때 이 절의 중흥(重興)에 크게 기여한 진표(眞表)와 그의 제자 영심(永深)에 의하여 발현(發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성덕왕 때 중수(重修)하였는데, 지금 남아 있는 석물(石物)은 모두 이 때 만들어진 것이라 한다.

그 후 여러 차례 중수를 하여 현존하는 목조건물은 모두 조선 후기의 것이다.

경내에는 유명한 법주사팔상전(法住寺捌相殿:국보 55)을 비롯하여 쌍사자석등(雙獅子石燈:국보 5),

석련지(石蓮池:국보 64), 사천왕석등(四天王石燈:보물 15), 마애여래의상(磨崖如來倚像:보물 216) 등의 국보 ·

보물을 비롯하여 법주사세존사리탑(法住寺世尊舍利塔:시도유형문화재 제16호),

 법주사사천왕문(시도유형문화재 제46호), 순조대왕태실(시도유형문화재 제11호) 등의 지방문화재가 있다.

이 밖에 대웅보전 ·조사각(祖師閣) ·일주문(一柱門) ·홍전문(紅箭門) ·대종각(大鐘閣) ·능인전(能仁殿) ·석조(石槽)

·수정암(水晶庵) ·중사자암(中獅子庵) 및 여러 대사의 비, 암지(庵址) 등 많은 유물이 있다.

또 조선 후기까지 35칸에 2층으로 된 이 사찰의 중심 법당인 용화보전(龍華寶殿)이 있었고 이 전각 안에

 금색의 육장상(六丈像)이 있었다.

그러나 1872년 당백전(當百錢) 주조 명목으로 대원군에 의해 육장상은 압수되고 용화보전도 헐리게 되었다.

1989년 사월 초파일에 옛 용화보전 자리에는 높이 33m의 청동미륵불이 점안되어 법주사의 새로운 상징물이 되었다.

법주사는 진표 ·영심 이후 도생(導生) ·자정(慈淨) ·신미(信眉) ·수미(守眉) ·일선(一禪) ·각성(覺性) ·희언(熙彦) 등

 고승들이 그 법통을 이어왔다.

'유명사찰, 건축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史跡 32호 독립문  (0) 2013.12.10
*송광사(전북 완주)  (0) 2013.12.09
법주사 편1  (0) 2013.12.07
회룡사 / 도봉산  (0) 2013.12.06
*봉서사(전북 완주)  (0) 2013.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