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 화 사
팔공산 도립공원에 위치한 이 사찰은 봉황(황제를 뜻하는 장엄한 전설 속의 새)의 정신을 대표합니다.
동화사의 창건에 대해서는 두 가지 다른 주장이 있습니다.
동화사 사적비(桐華寺
寺跡碑)에 의하면, 신라 소지왕 15년(493년) 극달(極達)화상이 창건하여 유가사(瑜伽寺)라 부르다가 흥덕왕 7년(832년) 심지(心地)대사가
중창할 때 오동나무가 겨울에 상서롭게 꽃을 피웠다 하여 동화사라 이름을 고쳤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또한 「삼국유사」에 의하면 영심(永深)대사에게
전해진 팔간자를 심지 대사가 받은 뒤 팔공산에 와서 이를 던져 떨어진 곳에 절을 지으니 이곳이 바로 동화사 첨당(籤堂) 북쪽 우물이 있는
곳이었다는 이야기가 실려 있습니다. 이상의 두 가지 창건 설 가운데 신라 흥덕왕 7년(832년) 심지대사가 중창한 시기를 사실상 창건으로 보는게
일반적인 견해입니다.
동화사는 창건 뒤 현재의 대가람으로 정비되기까지 여러 차례 중창과 개축이 이루어졌습니다. 동화사는 신라말인 934년
영조(靈照)선사, 고려 명종 20년(1190년) 지눌 보조(普照)국사, 고려 충렬왕 24년(1298년) 홍진(弘眞)국사에 의해 각각
중창되었습니다. 보조 국사는 호국불교 이념을 구현하기 위해 동화사 중창에 크게 공헌하여 동화사와 염불암에 영정이 모셔져 있습니다. 또 고려 말기
대표적인 고승인 홍진국사는 동화사를 하안소(下安所)로 삼고 대규모 중창을 하였으며 현재 해탈교 건너편에 국사를 기리는 부도가 남아 있습니다.
조선시대는 선조 39년(1606년) 유정(惟政)사명대사, 숙종 30년(1677년) 상숭(尙崇)대사, 영조 8년(1732년) 관허(冠虛),
운구(雲丘), 낙빈(洛濱), 청월(晴月)대사 등이 각각 중창하였습니다.
임진왜란(1592-1598)때에는 고승 사명대사가 전국의 승려를 모아 승군 본부를 동화사에 두고 본인이 총사령관에
취임하였습니다. 경상도 지역의 모든 사찰을 관리하는 관리 본부도 한 때 이곳 동화사에 있었으며, 현재도 동화사는 한국 불교 조계종 5대 사찰
중의 하나이며 대구, 청도, 고령, 성주, 칠곡지역 사찰을 관장하는 한국 불교 제 9지역의 주사찰로 역할을 다하고 있습니다.
동화사 주변에는 심지대사가 바위에 조각한 마애불좌상을 포함한 6개의 부속 암자와 많은 문화재가 산재해 있습니다. 이
외에도 보물 제 248호인 금당선원 동서 3층 석탑, 비로암의 석조 비로자나불 좌상(보물 제 244호)과 3층석탑(보물 제 247호),
당간지주(보물 제 254호) 및 사리탑이 있습니다.
세계 최대의 석불인 통일약사대불은 전 국민의 한반도 통일의 염원을 모아 완성한 것으로 거대한
통일약사의 중앙에 위치해 있습니다. 소문에 의하면, 주로 노 태우
전대통령의 기부금으로 지어졌다고 합니다.
대웅전(대구 중요문화재 10호)
동화사는 창건이래 8차에 걸쳐 중수, 중건되었는데, 현재의 건물은 조선시대 후기인
1727-1732년에 중건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대웅전은 너비와 폭이 각각 3칸이며 너새가 있는 박공 구조의 지붕이며, 처마는 조선시대 후기
일반적 양식인 다층구조의 보강제가 있는 형태입니다.
동화사 당간 지주 (보물 제
254호)
당간지주는 폭 74cm, 두께 34cm, 높이 3.1m 크기의 화강암으로 된 두 돌기둥이 동서로
66cm 떨어져 마주 서 있습니다. 당간은 본래 사찰의 입구에 꽂는 기당(旗幢)의 일종으로 사찰에서 기도와 법회 등의 의식이 있을 때 당간
꼭대기에 깃발을 답니다. 동화사 당간지주는 동화사의 창건연대와 비슷한 통일신라 후기의 작품으로 추정됩니다.
'유명사찰, 건축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안사 (0) | 2013.08.25 |
---|---|
*간월암(충남 서산) (0) | 2013.08.24 |
*개심사(충남 서산) (0) | 2013.08.22 |
*부석사(충남 서산) (0) | 2013.08.21 |
남대 지장암 (0) | 2013.08.20 |